생활정보

만나이 계산방법 23년 달라지는점

핫쿨쓰 2022. 12. 19. 19:40
반응형

12월19일 월요일의 하루도 이렇게 퇴근시간이 지나가고 있네요
다들 퇴근에 성공을 하셨을지 궁금한데요
혹여 일이 많아 퇴근을 하지 못하신분이 있다면 더 늦기전에
일 마무리 하시고 퇴근들 하셨으면 합니다.
코로나 바이러스 신규 확진자도 2만명대를 기록하고 있는만큼
이럴때 일수록 잘 먹고 잘 쉬어야 하지 않을까 싶네요

본론으로 돌아가 오늘은 만나이 계산방법 에 대해 알아볼까 합니다.
우리나라는 총 3가지 방법이 있어 헷갈려 하시는분들이 많았는데요
만 나이로 통일 추진 한다고 하여 이 부분을 해소 해줄것 같습니다.
한국식나이.만나이.연나이 가 하나로 통일 된다고 하는데요 그럼 지금 바로 알아보도록 합시다.

만나이 계산방법

현재 연도 - 출생연도
EX) 2022 - 1992 =  30


생일 지나지 않았을 경우 추가로 - 1
EX) 2022 - 1992 12 28  = 30 -1 = 29

 

 

2023년 6월 부터 시행이 된다고 하는데요
이로 인해 다들 젊어 질수 있게 되었는데요
아래는 세가지 나이 방법도 한번 적어 보았으니 확인해보셨으면 하네요

세 는 나이

출생 1살 연도별 +1

연 나이
출생 0살 연도별 +1

만 나이
출생 0살 생일 이후 +1

1세 미만은 개월수로 표시

이로 인해 나이로 인한 혼선이 줄어 들지 않을까 싶은데요
어린이 해열제.코로나 검사대상. 백신 접종등 다양한 나이 제한 관련에 

대해서 만나이 계산방법 으로 해결이 되지 않을까 싶은데요


하지만 병역법.민방위법.초중등교육법.청소년 보호법 등 50여개 법령은 연 나이로 유지가 된다고 하는데요
과연 어떠한 결과를 초래 할지 지켜봐야 할것 같습니다.
한편으로 나이가 한살또는 많게는 두살 까지 어려질수 있어 좋은점도 있는데요

다들 젊게 살고 싶은만큼 좋은 방안인것 같네요
그럼 이상으로 월요일에 준비한 만나이 계산방법 에 대한 포스팅을 마치도록 하겠습니다.

반응형